이런 메모 프로그램을 왜 이제서야 알게 되었을까?
pda에서 phatpad와 phatnote 두개의 프로그램으로 정리해 오던 메모들과 글들을 하나로 통합해서 사용 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은 물론 자유로운 sync로 언제 어디서나 메모한 내용을 더 편하게 볼 수 있는 이런 프로그램을 왜 이제서야 알게 되었는지 가슴이 아프네요.
이 프로그램의 장점은 강력한 스크랩기능과 싱크 기능인데 아쉬운 점은 무료 사용자에게는 한달 40메가 정도의 용량만 지원한다는 점이네요. 여러 리뷰들을 읽어 보니 일반 사용자들에게는 적당한 용량이라고는 하는데 며칠 프로그램을 사용하다보니 유료라도 사용해 볼만한 마음이 드는 프로그램입니다.
PDA용 뿐만 아니라 아이팟 터치용 client 도 있으니
http://evernote.com/ 홈페이지로 이동해서 사용해 보세요.
PDA 폰에서 데이터 요금제로 무선인터넷을 사용 하고 있는데 연결 할때마다 발생하는 소음을 참을 수가 없더군요.
그리 아름다운 소리도 아닌데 시도때도 없이 연결 되었다 끊어질때마다 소리가 나니...
이건 설정 -> 소리 부분에서도 없는 것이고 여러 PDA 커뮤니티에도 질문을 던져 봤으나 원하는 답변이 없더라구요.
결국은 windows 폴더안의 모든 wav 파일을 듣고 그 소음을 내는 녀석을 찾아 냈습니다.
Alarm2.wav 입니다.
이녀석을 무음 파일로 덮어 씌우면 앞으로는 아무런 소음 없이 쾌적한 사용을 할 수 있을 겁니다.
얼마 전 까지만 해도 Goosync(
2007/02/22 - PDA와 Google Calendar Sync [GooSync Client]) 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해 구글 캘린더와 PDA 와의 일정을 동기화 했는데 우리 구글에서 편하게 싱크할 수 있는 방법을 내놨어요.
http://www.google.com/support/mobile/bin/answer.py?answer=138636&topic=14299
위의 링크로 들어가 보면 영문이지만 간단하게 PDA의 Activa Sync 에 server 를 지정해 구글 캘린더와 PDA와 연락처와 일정을 동기화 할 수 있는 방법을 보여 주는데 연락처 부분은 조금 문제가 있어 보여 사용하고 있지는 않아요. 연락처의 메모 한글이 구글 주소록에선 모두 깨져 버리고(PDA에서는 괜찮아요) PDA에서 홍길동이라고 입력된 이름들이 홍,길동으로 바뀌어 버리더군요. 그래서 일정 부분만 사용 하고 있는데 일일이 Goosync를 실행해 동기화 해주지 않아도 sync 만으로 구글 캘린더와 동기화가 되니 편해요!!!
엑셀 파일에 영문을 입력하다 보면 뜬금 없이 한글로 자동 변환 되는 경우가 종종 있어요. 이건 프로그램에서 강제적으로 변환 하는 것이기 때문에 내가 입력 하려는 영어 단어를 아무리 입력 해 봐도 자동으로 한글 단어로 변환 시켜 버리는 난감한 기능 이예요.
개인적으로 자동 고침 기능이 별로 필요 없다고 느끼고 위와 같은 난감한 상황이 종종 발생 하기 때문에 엑셀을 설치하고 나면 항상 자동 고침을 해제 시켜 놓고 사용하는데 엑셀을 재 설치 하는 일이 년중 행사 쯤으로 발생하는 일이기 때문에 점점 쇠퇴해 가는 기억 능력에 항상 자동 고침을 어디서 해제 해야 하는지 찾아 보게 되더군요.
그래서 이렇게 포스팅을 하게 되었어요. -_-;
1. 자동고침 해제를 위해 도구 -> 자동 고침 옵션 메뉴로 들어 갑니다.

2. 한/영 자동 고침 메뉴의 체크를 해제 합니다.

3. 끝
Cisco Secure ACS 를 사용하여 인증 하는 사용자나 그룹에 대해 특정 명령어에 권한을 주거나 뺄 수 있는 설정을 할 수 있네요.
세팅 방법은
1.ReadWrite Access - For Administrators etc full access
2.ReadOnly Access - Users are allowed to run only show commands
ex)show 명령어에 대해서만 권한을 줄수 있어요..
3.Restrict_access
특정 명령어에 대한 세부적인 설정을 할 수 있어요.
IOS를 사용하는 장비에는 아래와 같은 설정이 꼭 들어 있어야 해요.
aaa new-model
aaa authorization config-commands
aaa authorization commands 0 default group tacacs+ local
aaa authorization commands 1 default group tacacs+ local
aaa authorization commands 15 default group tacacs+ local
PDF 문서를 보면 영문 문서지만 그림을 보며 쉽게 세팅 할 수 있어요.
컴퓨터를 설치하고 장치 관리자를 보면 "?" 표시로 나타나며 정상적인 동작을 하지 않는 장치들이 종종 있어요. 플러그앤 플레이 기능이 되지 않아 꼭 수동으로 드라이버를 잡아 줘야 하는 장치들이죠. 이 장치들이 어떤 회사의 어떤 장치들인지 알면 드라이버를 설치하기가 한결 쉬울텐데 그냥 보기에는 어떤 장치들인지 알 수가 없어서 다들 곤란한 적이 한 두번쯤은 있었을 거라 생각해요. (나만 그랬나?-_-;) 다른 집에 컴퓨터를 봐주러 갔을땐 본체를 열지 않으면 어떤 장치들이 꽂혀 있는지도 알 수 없으니 말이예요. 그런데 해결 방법이 있었어요.
장치관리자에 드라이버가 설치되어 있지 아래와 같이 표시되는 경우가 종종 있어요.
아래 사진은 기본적으로 오디오 컨트롤러 라는 정보를 표시해 주곤 있지만 어느 회사의 무슨 장치인지 까지는 알 수가 없어요.

위 장치의 등록정보의 자세히 탭으로 이동하면 장치 인스턴스 Id를 확인 할 수 있어요.
여기서 확인 할 것은
VEN_13F6 과
DEV_0111 이예요.

자 이제 위 정보를 가지고
http://www.pcidatabase.com/ https://devicehunt.com/ 라는 site로 가서 어떤 장치 인지 찾아야 해요. 메인 페이지에 보면 Vendor Search 에 VEN_13F6 에 있는 13F6 이라는 코드를 입력 해 줍니다. VEN_13F6의 VEN은 Vendor의 약자이고 DEV_0111의 DEV는 Device의 약자예요.

Vendor 코드를 가지고 검색을 하게 되면 아래와 알 수 없는 장치의 제조 회사명을 알 수가 있어요. 알 수 없는 장치는 C-Media Electronics 라는 회사의 장치였군요.

장치의 링크로 들어가면 제조 회사의 Device ID를 확인해 Chip Number 까지 확인 할 수 있네요. 모든 Device ID가 나와 있는 것 같진 않지만 대충 알 수 없는 장치가 무었이었는지 까지는 알 수 있겠죠?

원하는 장치가 정확히 검색이 된다면 링크되어 있는 제조사 홈페이지로 이동해 드라이버를 다운 받아서 설치 하셔도 되고요.
원격에서 윈도우 터미널 서비스 세션 끊는 방법 입니다.
터미널 서비스 세션이 정상적으로 로그오프 되지 않고 남아 있어 터미널 서비스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원격에서 터미널 서비스 세션을 끊을 수 있는 방법이 있었네요.
이런 방법을 알기 전엔 꼭 서버에 찾아가 수동으로 세션을 끊어 줬었는데 말이예요. ㅜㅜ
방법은 간단 합니다.
- 실행에서 cmd 를 입력 후 command 창을 띄웁니다.
- net use \\서버아이피 /user:administrator(다른 계정도 사용 가능 합니다.)
- tsdiscon 뒤에 끊고자 하는 세션 번호를 입력 하면 된답니다.
tsdiscon 1 /server:서버아이피
tsdiscon 2 /server:서버아이피
작년에 PDA 활용을 위해 운좋게 중고로 저렴하게 구입했던 PDA용 Stowaway 적외선 Keyboard 예요. 수요가 많지 않아서 그런지 아직도 7만원대의 비싼 가격을 유지 하고 있네요. 비싼값에 팔리고 있긴 하지만 키감도 무척 좋고 휴대하기도 간편해서 많이 활용하지는 못하지만 그래도 자주 가지고 다니곤 해요.
키보드를 PDA와 연결해 사용하려면 PDA에 키보드 드라이버를 설치해 줘야 하겠죠.
드라이버는
http://www.thinkoutside.com/ 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는데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는 최신 버전의 드라이버 4.52 를 설치하면 받침있는 특정 글자가 입력이 정상적으로 되지 않아요.
대표적으로 "밥 먹고 이ㅆ다." 와 같이 "있"이라는 글자가 정상적으로 입력이 되지 않더군요. 알고 보니 드라이버 문제 였어요. 홈페이지에선 최신버전의 드라이버 밖에 다운로드가 되지 않아 다른 곳에서 4.4 버전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니 정상적으로 글씨가 입력 되네요.
ppc 2003 용 인 것 같은데 wm2005 에서도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 합니다.
4.4 버전 뿐아니라 4.51도 정상적으로 글씨가 입력 된다고 하네요.